옹재
소소한 개발 블로그
옹재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66)
    • 개발 관련 서적 스터디 (6)
    • 프론트엔드 스터디 (36)
      • Javascript (16)
      • Typescript (13)
    • Vue 스터디 (22)
    • 개발 관련 스터디 (2)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CSS
  • 프레임워크 없는 프론트엔드 개발
  • 프론트엔드 스터디
  • scss
  • 개발서적 스터디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옹재

소소한 개발 블로그

git fork부터 pull request까지
개발 관련 스터디

git fork부터 pull request까지

2021. 8. 11. 15:06
728x90
반응형

git fork부터 pull request까지

이번 포스팅에서는 fork부터 pull request까지 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예제는 github을 사용해서 진행하겠습니다.

  1. Fork할 프로젝트의 저장소로 들어간 후 화면 우측 상단에 위치한 Fork를 클릭한다.

  1. 그러면 다음과 같이 자신의 계정으로 된 저장소에 Fork한 프로젝트가 생성된다.

  1. 그리고 Fork로 생성된 저장소에서 Clone or download를 통해 URL을 확인하고 다음 명령어로 해당 저장소를 Clone 한다.

$ git clone <fork reqpository url>
  1. 다음 명령어로 원본 프로젝트 저장소의 이름을 지정하고 Remote 저장소로 추가한다.
$ git remote add <upstream> <original repository url>
  1. -v 옵션으로 설정된 원격 저장소를 확인해보자.
$ git remote -v

 

  1. 이제 다음 명령어로 branch를 생성하자. branch는 기존의 코드와는 상관없는 독립적인 개발 환경을 도와준다. (branch는 특정 시점에서 파생되어 독립적인 코드를 유지할 수 있다.)
$ git branch <test>

$ git checkout <test>

// $ git checkout -b <test> 명령어로 위의 과정을 축약할 수 있다.
  1. temp branch에서 코드 수정을 한 후 Add, Commit을 하고 다음과 같이 origin 저장소에 해당 branch를 Push 한다.
$ git push origin <test> 
  1. Push 후 자신의 계정에 생성된 저장소에 들어가서 확인해보면 Compare & pull request 버튼이 활성화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버튼을 클릭하고, 다음과 내용을 작성한 후 Create pull request 버튼을 통해 Pull Request를 생성한다.

imgimg

  1. 이후 원본 저장소의 관리자는 요청된 Pull Request를 확인하고, 해당 PR에 대한 Review를 남기거나 Merge 한다.
    Merge 이후에는 다음 명령어로 로컬 저장소의 원하는 브런치에 동기화하는 작업을 하면 된다.
$ git pull <upstream>
728x90
반응형

'개발 관련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fork 와 clone  (0) 2021.08.11
    '개발 관련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 git fork 와 clone
    옹재
    옹재

    티스토리툴바